티스토리 뷰
DNS ( Domain Name Service )
-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
Port : UDP53, TCP53
< TCP를 사용하는 두 가지 >
1.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이 512byte 이상일 때
2. 존 트랜스퍼 ( 영역 전송 )
< 도메인 입력시 도메인 서비스 순서 >
1. cache : 이전에 작업했던 내용을 메모리에 저장 후 빠르게 서비스
( ↔ buffer : 일괄 처리 작업, 모았다가 처리 )
2. /etc/hosts 파일을 살핀다.
(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
3. DNS 서버
(1차 DNS, 2차 DNS)
* 만약 위 3가지 순서를 거치고도 못찾는다면
전 세계에 있는 13개의 'Root DNS Server' > 1차 DNS Server > 2차 DNS Server 를 살핀다.
이렇게 외부로 나가서 DNS 주소를 찾는 방법을
'순환커리' 또는 '리커시브 쿼리' 라고 한다.
이제 윈도우 서버 2008_R2 DNS 설정을 해보자
서버 관리자 > 역할 추가
DNS 서버 체크해주고 다음!!
나머지는 다음을 누르며 그대로 설치 해준다.
설치가 다 됐으면 DNS 관리자를 열어준다
그 후, 정방향 조회 영역에 '새 영역 추가' 해준다.
주 영역으로 설정하고 다음!!
영역이름을 본인이 편한대로 지정하자. ( EX> .com 형식)
윈도우에선 '영역 파일', 리눅스에서는 '존 파일' 이라고 한다.
기본 그대로 설정해주자.
동적 업데이트는 허용 안 함으로 할 것이다.
다 됐으면 설치를 마치자.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다면 위와 같이 정방향 조회 영역 하위에
babo.com 이라는 영역이 보일 것이다.
새 호스트들을 추가 해주자.
앞에 아무것도 달지 않고 웹 사이트에 접속 하는 경우 ( Ex. naver.com )
앞에 www를 달고 웹 사이트에 접속 하는 경우 ( Ex. www.naver.com )
위에 blog를 달고 웹 사이트에 접속 하는 경우 ( Ex. blog.naver.com )
앞에 intra를 달고 웹 사이트에 접속 하는 경우 ( Ex. intra.babo.com )
호스트들을 모두 추가 해줬다면,
윈도우 7에서 DNS 서버 주소를 해당 DNS 서버 주소( 윈도우2008 )로 잡아주고
cmd > nslookup
명령어로 DNS 서버가 제대로 잡힌 1.0.0.1 인지 확인해본다.
그리고 만들어준 호스트들도 검색이 되는지 한번 씩 다 검사해본다.
다 정상적이면 윈도우2008로 돌아와,
본인이 지정하고 싶은 경로에 blog폴더, intra폴더를 생성하여
그 안에 기본 html 파일들을 작성하여 넣어준다.
그 후,
IIS 관리자 > 웹 사이트 추가 > blog,intra 를 추가하여
실제경로를 위에 만든 폴더로 각각 잡아주고 확인을 누른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80번 포트는 하나의 웹 사이트만 사용 할 수 있어서
위와 같은 메시지가 보인다.
하지만 방법이 있다.
첫번째, 위와같이 윈도우2008 서버 네트워크 랜카드에
다른 IP를 할당하여 blog나 intra사이트에 적용 시키는 방법
두번째, 포트번호를 예를들어 8080으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방법
세번째, 각 사이트 별로 바인딩 편집하여 호스트 이름을 각각 지정해주는 방법
우리는 위 3가지중 세번째를 해볼 것이다.
웹 사이트 > 우클릭 > 바인딩 편집
해당 사이트를 클릭 > 편집 >
호스트 이름 부분에 blog.babo.com 또는 intra.babo.com 을 등록해준다.
윈도우 웹 서버 관리할때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를 잘봐야한다.
기본문서 , 인증
일단 기본문서에 우리가 blog, intra 각각의 폴더에 넣어둔 babo.html을 등록해준다.
Intra 웹 사이트는 계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만이 들어오게 설정할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인증부분을 수정해줘야 한다.
기본적으로는 익명인증 '사용' , 기본인증 '사용 안 함' 으로 설정 되어 있다.
이것을 익명인증 '사용 안 함' , 기본인증 '사용' 으로 바꿔주자.
위와 같이 babo.com , www.babo.com 으로 접속 했을 시에 똑같은 MainPage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blog.babo.com 으로 접속 했을 시엔 Blog_MainPage를 볼 수 있다.
Intra 페이지는 인증부분에서 기본인증 '사용', 익명인증 '사용 안 함' 으로 설정 했기 때문에
위와 같이 사용자 로그인 메시지가 나온다. 정상적인 현상이다.
윈도우2008 서버 계정 중 하나로 로그인 하면 위와 같이 Intra_MainPage로 들어 갈 수 있다.
'System Infra > 윈도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서버 2008_R2 메일(Mail) 서버구축 (0) | 2018.09.13 |
---|---|
윈도우 서버 2008_R2 FTP 설정 (0) | 2018.09.13 |
윈도우2008_R2 웹서버 및 가상디렉토리 설정 ( IIS ) (0) | 2018.09.12 |
윈도우2008_R2 DHCP 서버만들기 (0) | 2018.09.12 |
윈도우2008 서버 파일서비스 접근제한(ACL) 설정 (0) | 2018.09.11 |
- Total
- Today
- Yesterday
- docker 설치
- docker volume
- docker network
- docker run
- k8s란
- CKA 취득후기
- docker 명령어
- 쿠버네티스 종류
- CKA 시험
- 쿠버네티스란
- Docker 바인딩
- Docker Port
- 도커 volume
- 쿠버네티스 설치 방법
- 쿠버네티스 설치 종류
- 도커 포트 바인딩
- docker
- 쿠버네티스 설치
- 쿠버네티스
- docker create
- docker pull
- 도커 네트워크
- 도커 포트
- 도커
- kubeadm
- docker 볼륨
- docker command
- kubespray
- 도커 볼륨
- 도커 설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