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AWS Migation을 위한 ESXi 및 VCSA 설치
AWS Server Migration 시 가능한 VM 형태는
vCenter or Hyper-v(SCVMM)로서
반드시 AWS사이트에서 Appliance 형태의 vm을 다운로드해서 설치 해야 한다.
설치할 ESXi의 버전이 6.7이므로 6.x로 설치해준다.
코어 수는 2코어로 설정
ESXi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최소 12GB의 메모리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호스트PC의 메모리는 16GB 일텐데 일단 12GB로 설치 후 나중에 8GB로 내려줘도 정상적으로 운용이 가능하다.
가상 CD ROM에 VMvisor Installer 6.7 버전을 넣어준다.
모든 설정이 끝났으면 Hardware 세팅에서 Virtualize Intel VT-x/EPT or AMD-V/RVI 를 체크해준다.
※ 이외에 나머지 설정들은 모두 Default 값으로 해준다.
가상 CD를 넣고 실행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설치 과정의 첫단계이니 시간이 나면 읽어보자.
Continue
흔히 우리가 타 프로그램을 설치할때와 마찬가지로 동의를 얻는 것이다.
Accept and Continue
내가 설정한 가상머신이 제대로 올라왔는지 확인하고 Continue
언어는 한국어가 없다. US Default로 해주자. 본인 입맛에 맞게 설정해도 된다.
비밀번호 조건이 까다롭다. 대문자 소문자 특수기호 7자 이상 조건이다.
Install 해주고 나중에 Reboot 하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재부팅해준다.
설치가 완료됐다. Host PC의 사양과 네트워크 설정 정보가 보일 것이다. 현재 Bridge 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Host PC 네트워크 대역대의 DHCP로 임의의 IP를 할당 받았다. F2번을 눌러 Network 설정 정보등을 변경해준다.
Configure Management Network 로 들어가 IP정보를 변경해준다.
먼저, IPv4 Configuration에 들어가 IPv4의 주소를 입맛에 맞게 설정한다.
Static 설정으로 바꿔주고 본인이 사용할 IP대역을 입력해준다.
DNS Configuration에 들어간다.
Use the following DNS xxxxx 로 설정하고 Hostname을 지정해준다.
ESXi 설정이 모두 끝났으면 이제 VCSA를 설치해야된다. 먼저 알집을 다운로드하고 VCSA ISO 파일을 가상 드라이브에 마운트 해준다.
가상 드라이브에 마운트 해주면 위와 같이 [내 컴퓨터] 에 들어갔을때 [VMware VCSA] 가 드라이브에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운트해준 VCSA 드라이브에 들어가면 위와 같은 파일 및 폴더가 보인다. vcsa-ui-installer 폴더에 들어간다.
win32 폴더에 들어간다.
win32 폴더에 들어가면 installer.exe 파일이 있다. 실행해준다.
그럼 위와 같이 설치과정의 첫 화면이 나온다. 설치 해준다.
VCSA 설치과정에서는 한글로 설명이 잘 되어있기 때문에 무조건 다음다음다음 할것이 아니라 꼭 읽어보는것을 권장한다.
라이센스 계약 조건에 동의 체크하고 다음
배포 유형 선택이다.
우리는 내장형 Platform Services Controller로 설치할 것이다.
https://docs.vmware.com/en/VMware-vSphere/6.7/com.vmware.psc.doc/GUID-ACCD2814-0F0A-4786-96C0-8C9BB57A4616.html
장치 배포 대상설정이다. ESXi 호스트 또는 vCenter Server 이름을 입력해야하는데 위 사항엔 [ESXi의 IP주소] 를 입력한다.
인증서는 예를 눌러준다.
장치 VM 설정이다. VM이름을 지정하고 그에 대한 루트암호도 설정해준다.
배포 크기는 매우작음 / 스토리지 크기는 기본값으로 설정한다.
만약, ESXi의 메모리가 10GB이하이면 위와 같은 오류 메시지가 뜨며 다음단계로 진행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꼭 메모리를 10GB이상으로 설정한다.
데이터스토어 선택이다.
[대상 호스트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기존 데이터스토어에 설치] 를 체크해준다.
또한, [씬 디스크 모드 사용]을 체크해준다.
※ 씬 디스크 모드는 쉽게말해 동적할당이다. 즉, 100GB로 데이터스토어를 지정한다고 해서 실제 Host PC의 100GB를 잡아먹는 것이 아니라 쓰는 만큼 그때 그때 늘려가며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Host PC의 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대신 속도는 정적할당 보다는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크게 차이는 안나므로 우리는 씬 디스크 모드를 사용할 것이다.
네트워크 설정 구성이다.
VCSA의 IP를 지정해준다.
모든 설치 단계를 마치면 설정들을 검토하고 완료해준다.
'Public Cloud > AWS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Migration] SMS - AWS Server Migration Service를 이용하기 (수정중) (4) | 2019.01.08 |
---|---|
[AWS Migration] ESXi 및 VCSA 설치과정 - 2 (0) | 2019.01.07 |
[AWS - 7 ] 보안 및 규정 준수 (0) | 2018.12.27 |
[ AWS - 6 ] 글로벌 인프라 (0) | 2018.12.27 |
[ AWS - 5 ]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 (0) | 2018.12.26 |
- Total
- Today
- Yesterday
- docker 명령어
- 쿠버네티스란
- 도커 volume
- CKA 취득후기
- 도커 네트워크
- 쿠버네티스 설치
- docker run
- Docker Port
- docker command
- 쿠버네티스 설치 종류
- 도커
- 쿠버네티스 설치 방법
- 도커 포트
- 쿠버네티스
- docker pull
- 쿠버네티스 종류
- docker 볼륨
- kubespray
- k8s란
- docker network
- docker
- kubeadm
- 도커 볼륨
- docker 설치
- docker volume
- docker create
- 도커 포트 바인딩
- 도커 설치
- CKA 시험
- Docker 바인딩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