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부분의 서비스는 단일 프로그램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예로 Web Service와 WAS, DB등은 서로 연결되어 완전한 서비스로서 동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 서비스들을 VM 형태가 아닌 컨테이너 환경으로 구축하게 된다면,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한 컨테이너, 즉 All-in-one 형태로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VM 구조 인프라에서도 권장하지 않는 환경이다. 1개의 애플리케이션을 1개의 VM 또는 1개의 컨테이너에 각각 구축하는 것이 모든 벤더에서의 권장 사항이다. 따로따로 서비스를 구축하면 VM간, 컨테이너간의 독립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버전관리, 소스코드 모듈화등이 더욱더 쉬워진다. 도커 공식홈페이지에서도 위와 같은 구조를 권장하며, 한 컨테이너에 프로세스 하나만 실행하는 것이 도커..

컨테이너는 가상 머신과 마찬가지로 가상 IP 주소를 할당받는다. 기본적으로 도커는 컨테이너에 172.17.0.x의 IP를 순차적으로 할당 # docker run -i -t --name network_test ubuntu:14.04 # ifconfig - 위 그림과 같이, docker run 명령어를 통해 실행된 컨테이너의 IP는 172.17.0.x 대역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도커의 NAT IP인 172.17.0.x 를 할당받은 eth0 인터페이스와 로컬 호스트인 lo 인터페이스가 있다. - 이 외, 어떠한 설정도 하지 않았다면 이 컨테이너는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하고 도커가 설치된 호스트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컨테이너내부 애플리케이션을 외부에 노출하기 위해서는 eth0의 IP와 포트를 호스트의..

1. Docker 엔진 버전 확인 # docker -v 2. Docker Run / 컨테이너 생성 및 실행 # docker run -i -t ubuntu:20.04 - Docker run 명령어는 컨테이너 생성 및 실행 - ubuntu 20.04 이미지가 로컬 도커 엔진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도커 중앙 이미지 저장소인 도커 허브에서 자동으로 이미지를 내려받음 - 현재 컨테이너 내부로 들어온 상태 (호스트 네임변경) > 호스트네임은 무작위의 16진수 해시값 > -i 옵션 : 상호 입출력 설정 > -t 옵션 : tty를 활성화하여 배시(bash) 셸을 사용하도록 컨테이너 설정 > 위 두가지 옵션을 하나라도 사용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셸사용 불가 3. ls 명령어로 컨테이너 내부 확인 # ls 4. Docker..
- Total
- Today
- Yesterday
- 도커 포트
- 쿠버네티스 설치 방법
- docker run
- 도커 네트워크
- 쿠버네티스 종류
- docker 볼륨
- Docker Port
- 도커 설치
- kubeadm
- 쿠버네티스 설치
- CKA 시험
- 쿠버네티스란
- 도커 포트 바인딩
- 도커 volume
- CKA 취득후기
- k8s란
- docker 명령어
- 도커
- 도커 볼륨
- 쿠버네티스 설치 종류
- 쿠버네티스
- kubespray
- docker 설치
- docker pull
- docker network
- docker
- docker command
- docker volume
- docker create
- Docker 바인딩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