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seopressor.com/blog/http-vs-https/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www 상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 프로토콜이다.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HTTP를 통해 웹페이지나 이미지 정보를 요청하면 서버는 이 요청에 응답하여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결국, HTTP는 웹브라우저(Client)와 서버(Server)간의 웹페이지 같은 자원을 주고 받을 때 쓰는 통신 규약이다. http는 텍스트 교환이다. 즉, 데이터가 평문으로 전송된다.html 페이지도 텍스트다. 바이너리 데이터로 되어있는 것도 아니고 단순 텍스트를 주고 받기 때문에 누군가 네트워크에서 신호를 가로채어 본다면 내용이 노출된다. HTTPS 위의 ..
도커 이미지 만들기 도커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컨테이너의 상태를 그대로 이미지로 저장하는 단순하고 무식(?)한 방법을 사용합니다.create docker image예를 들어, 어떤 애플리케이션을 이미지로 만든다면 리눅스만 설치된 컨테이너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그 상태를 그대로 이미지로 저장합니다. 가상머신의 스냅샷과 비스므리한 방식입니다.이런 과정은 콘솔에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는 것과 별 차이가 없으므로 쉘 스크립트를 잘 알아야 하지만 좋은 샘플이 많이 공개되어 있어 잘 몰라도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복붙만세! 또한 컨테이너의 가벼운 특성과 레이어 개념을 이용하여 생성과 테스트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이제 Ruby로 만들어진 간단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도커라이징Dockerizing(=도..
도커 설치하기도커는 리눅스 컨테이너 기술이므로 macOS나 windows에 설치할 경우 가상머신에 설치가 됩니다. 리눅스 컨테이너 말고 윈도우즈 컨테이너라는 것도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Linux리눅스에 도커를 설치하는 방법은 자동 설치 스크립트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쉽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면 root 권한을 요구하고 잠시 기다리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음.. 참 쉽죠?1curl -fsSL https://get.docker.com/ | sudo sh sudo 없이 사용하기docker는 기본적으로 root권한이 필요합니다. root가 아닌 사용자가 sudo없이 사용하려면 해당 사용자를 docker그룹에 추가합니다.1 2sudo usermod -aG docker $USER # 현재 접속중..
- Total
- Today
- Yesterday
- 도커 포트 바인딩
- docker network
- 쿠버네티스 설치 방법
- docker volume
- docker run
- docker create
- CKA 취득후기
- 도커 설치
- 도커 포트
- 쿠버네티스 설치
- CKA 시험
- k8s란
- 도커 volume
- kubespray
- docker 볼륨
- 도커 네트워크
- 쿠버네티스 설치 종류
- Docker Port
- 도커 볼륨
- docker
- docker 설치
- 쿠버네티스
- 쿠버네티스란
- docker pull
- Docker 바인딩
- kubeadm
- 도커
- docker 명령어
- 쿠버네티스 종류
- docker comman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